▣ 쌍봉
= 주가가 한번 올라갔다가 조금 떨어졌다가 다시 한번 올라가서 봉우리 두 개를 만든다는 뜻

▣ 쌍봉이 중요한 이유
만약 주가가 어떤 강력한 호재를 만나서 상승갔다면 언제 매도해야 되는지 굉장히 고민해야 될 타이밍이다.
상승하다가 좀 빠지게 된다면 사람들이 굉장히 놀라서 매도를 많이 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상승할 여력이 충분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주가가 조금 떨어진 지점에서 많이 매수를 해준다면 다시 상승하게 된다. 그런데 만약에 고점 구간이 주포(주식을 많이 갖고 있는 세력)의 목표가 였다면 두번째 고점에서 많은 물량이 또 나올 것이다. 그렇게 되면 두 번의 하락이 발생된다.
주식은 군중심리와 같다. 주식은 사람들의 마음과 직결돼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주가가 움직이는 방향성도 군중들의 심리에 따라 요동을 치게 되어있다.
첫번째 고점에서 산 사람들이 엄청난 희망을 갖고 샀는데 폭락을 해서 굉장히 불안한 마음이 많이 생겼을 것이고 그러다가 다시 상승을 했을 때 다시 희망을 갖게 됐는데 만약에 두 번째 고점에서 엄청난 매물이 쏟아진다면 사람들의 큰 실망으로 주가가 하락을 하게 된다. 사람들이 이 주식을 팔아치우면서 하락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두 번째 실망을 했을 때는 더 급락을 하게 돼있다.
첫 번째 하락의 각도보다 두 번째 하락의 각도가 훨씬 더 급격하게 돼있다.
두 번의 실망을 하게 된다면 더 많은 물량이 한 번에 쏟아지게 되고 그것은 폭락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만약 매수한 종목이 어느 구간을 뚫지 못하고 두 번의 하락을 한다면 첫번째 하락구간에선 매도 포지션을 한 번쯤 잡아줘야 되는 것이다.
하락구간에서 거래량이 굉장히 많이 터지면서 장대음봉 즉, 주가가 시초가부터 종가까지 쭉 밀리면서 많은 거래량이 터졌다면, 전일대비해서 몇 배의 거래량이 터졌다면 그때는 하락 추세가 시작됐다고 생각해도 무방하다.
주식을 싸게 사서 비싸게 파는 비싸게 파는 구간을 잡을때는 쌍봉을 참고하면서 매매를 한다면 도움이 된다.
사람들의 계좌가 빨간색(+)이 돼있느냐 파란색(-)가 돼있느냐는 굉장히 중요하다.
그 이유는 마이너스 계좌인 사람들이 많다면 그 사람들이 모두 주식을 팔고 싶은 마음이 생기면서 주가를 하락시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그런 마이너스인 계좌인 사람들을 없애기 위해서는 고점 구간을 뚫고 더 올라가 줘야지 여태까지 같이 산 사람들이 모두 플러스 계좌가 되면서 다 같이 한마음 한뜻으로 주식을 팔지 않는다. 주식을 팔지 않는다는 것은 매물이 안 나오면서 주가가 더 상승하게 돼있는 것이다.
* 주가가 올라가는 원리 = 인간의 본질
인간은 유일하게 희소한 것에 굉장히 목숨을 거는 동물이다.
주식이 올라가기 위해서는 희소해야 된다.
희소하려면 많은 사람들이 팔지 않아야 되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팔지 않고 계속해서 사기만 한다면 주가는 올라갈 수밖에 없는 것이다.
하지만 사람들이 이 주가가 이제 적정가치를 찾았다거나 아니면 앞으로의 악재, 아니면 악재가 진짜 터졌다면 이 주가를 막 팔기 시작한다. 그러면 그 종목의 주식은 증권시장에 막 풀리면서 점점 희소성을 잃게 되고 주가의 가격은 다운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