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

주식 상승장 찾는 방법

by 밍큐 2023. 3. 24.
반응형
SMALL

 

1. 지수 차트를 통해 상승장 찾기(HTS)

(코스피 지수 주봉 차트 = 20주 이동평균선 활용)

 

주식시장의 큰 흐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수 차트를 먼저 살펴본다.

 

* 코스피 지수

증권거래소에 사장된 모든 종목들의 주식 가격을 종합적으로 표현한 수치

우리나라 산업의 가치를 볼 수 있는 지표

 

*  코스피 지수 상승 = 거래소에 상장된 많은 종목들이 상승하는 분위기

 

상승장에서 지수를 선도하는 종목에 투자해야 한다.

좋은 실적을 내는 저평가 주식일지라도 주가가 힘을 못 쓰면 투자 대상에서 제외

(좋은 기업이 반드시 좋은 주식은 아니기 때문)

 

* KOSPI200 지수

주식시장을 대표할 수 있는 대표성

충분한 유동성을 가진 기업 중에서 상위 200개의 종목을 뽑은 것

 

* 코스닥 지수 = 코스닥시장 본부가 운영하는 중소, 벤처 기어의 주식 가격을 종합적으로 표현한 수치

 

■ 지지선을 통한 주가 하락 전환 분석

 

* 상승추세선(지지선)

주가가 상승하는 동안 주가의 저점들을 연결한 선

주가가 상승하는 동안에는 작은 규모의 상승과 하락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며 저점과 고점을 점점 높여간다.

상승추세에서는 주가가 살짝 하락하듯 보여도 지지선에서 다시 반등하여 계속 추세를 이어간다.

상승추세선(지지선)을 통해 상승하던 주가의 추세가 하락으로 전환되는 시점을 알 수 있다.

지지선의 길이가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상도의 세기가 더 커진다.

여러 번 지지를 받은 지지선일 경우 신뢰성이 커진다.

그러나 주가의 반등은 지지선이 지켜주는 것이 아니다.

지지선은 많은 투자자들의 심리가 모여 있을 뿐이다.

지지선은 결국 깨지게 되어 있다.

지지선이란 현재의 추세가 지속되는 동안만 추세를 알려주는 선으로 지지선이 깨지는 순간 매도 시점으로 접근한다.

 

■ 저항선을 통한 주가 상승 전환 분석

 

* 하락추세선(저항선)

- 주가가 하락하는 동안 최고점에서 시작하여 고점끼리 연결한 선

- 주가의 상승 저항

 

* 매수타점

- 지지선까지 살짝 하락하다가 반등하는 시점

- 큰 하락을 끝내고 상승추세로 전환되는 시점(저항선을 깨고 상승 전환하는 시기)

 

추세선은 완전한 것이 아니다.

저항선을 돌파하는 시기에 매수했다고 하더라도 모두 상승하는 것이 아니며,  상승하더라도 그 폭이 클 수도 있고 작을 수도 있다.

 

저항선(하락추세선)이 돌파된 수 주식을 매수하고 지지선(상승추세선)이 꺾일 때까지만 보유하고 미련 없이 매도한다.

 

■ 상승장을 알 수 있는 보조지표 - 이동평균선

 

* 주가 이동평균선

일정 기간 이전 종가들의 평균을 연결한 선

후행지표

 

* 120일 이동평균선 = 경기선

경기 흐름을 알 수 있는 선

주식시장의 6개월에 해당한다.

6개월은 기업별로 보고서 2개가 나오는 기간이다. 

즉, 보고서 2개가 나오는 기간 동안 꾸준히 실적이 나아지고 아픙로도 좋아질 것으로 기대된다면 경기가 좋아졌다고 이해할 수 있는 것이고, 120일 이동평균선은 계속 우상향 것이다.

120일 이동평균선은 지나간 120일 평균점으로서 엄청나게 후행하는 지표이며, 갑작스러운 증시 변화를 실시간으로 따라가기 힘들다.

 

* 60일 이동평균선 = 수급선

주식시장의 3개월에 해당한다.

3개월은 기업별 보고서 1개가 발표되는 기간이다.

따라서 새로 발표된 보고서에 담긴 실적의 변화에 조금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

 

* 20일 이동평균선 = 심리선

20일은 주식시장의 1개월을 의미한다.

아직 보고서가 발표되기 이전의 짧은 기간이다.

그래서 여러 가지 심리적인 요소에 따라 주가의 등락이 더 크게 결정되기도 한다.

 

* 10일 이동평균선, 5일 이동평균선 = 단기선

 

* 20주 이동평균선

20주는 대략 반년이 되고, 일봉 차트에서 120일 이동평균선과 비슷한 흐름이 된다.

이는 기업별 보고서 2개가 나오는 시기다.

120일 이동평균선은 경기선으로 경기가 좋아진다는 것은 좋은 시즌이 되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주봉 차트에서 20주 이동평균선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

 

* 지수 주봉차트 상승추세 확인 방법

이동평균선이 정배열 또는 상승추세인지 CHECK

10주 이동평균선과 20주 이동평균선의 골든크로스 시점 CHECK

추세가 언제 갑지가 바뀔지는 모르지만, 지수 이동평균성이 정배열 상승추세를 이어가고 있는 동안에는 상승추세임을 가늠할 수 있다.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하는 캔들 흐름이 먼저 나온다면 아직 이동평균선 흐름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더라도 상승추세를 먼저 집작할 수 있다.

현재 주가를 기준으로 이동평균선과의 상대적 위치를 이해한다.

 

* 지수 주봉차트 하락추세 확인 방법

20주 이동평균선 상승추세 멈춤

20주 이동평균선과 10주 이동평균선 데드크로스 시점 CHECK

데드크로스 이후 역배열이 지속된다면 큰 흐름 속에서 하라추세임을 이해하고 이에 맞는 투자 방법을 적용해야 한다.

 

2. 저평가 분석 - PER, PBR

* PER(Price Earning Ratio)

= 주가 수익 비율

= 주가 ÷ 주당순이익

 

주당순이익 = 당기순이익 ÷ 발행주식 총수

 

PER = (주가×발행주식총수) ÷ 당기순이익

 

주가가 상승 =  PER 증가

기업의 당기순이익(기업 가치 상승) 증가 = PER 감소

 

* PER 저평가

= 당기 순이익이 증가함에도 아직 주가가 오르지 않아서 PER 작은 상태

= 10배 이하 또는 과거 PER와 비교

 

저평가가 되었다고 하여 바로 좋은 시즌이 된 것은 아니다,

저평가가 되었다고 하여 주가가 바로 상승하는 것 또한 아니다.

그러므로 현재 증시의 수준이 저평가 수준인지 파악한 다음, 기술적 분석(차트 분석)을 통해 증시의 상승 시점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 PBR(Price Book-value Ratio)

= 주가 순자산 비율

 = 주가 ÷ 주당 순자산

 

주당 순자산 = 자본총계 ÷ 발행주식 총수

 

PBR = (주가×발행주식총수) ÷ 자본총계

                  

자본 증가 =  PBR 감소

주가 상승 = PBR 증가

 

* PBR 저평가

= PBR 1배 이하

= 모든 주식을 청산했을 때 현재 주가보다도 돈을 더 많이 받을 수 있다는 의미

 

* PBR 1배

= 주가와 1주당 순자산 동일

= 모든 주식을 정리했을 때 청산가치와 자본총계 동일

 

PER, PBR 분석이 곧바로 좋은 시즌을 알려주지 않는다.

단순히 저평가 상태임을 알려주는 지표이기 때문이다.

 

PER, PBR  

 

지수 주가지수 PER/ PBR/배당수익률

주식  세부안내  PER/ PBR/배당수익률(개별종목)

 

한국거래소 PER, PBR

 

http://data.krx.co.kr/contents/MDC/MDI/mdiLoader/index.cmd?menuId=MDC0201

 

KRX 정보데이터시스템

증권·파생상품의 시장정보(Marketdata), 공매도정보, 투자분석정보(SMILE) 등 한국거래소의 정보데이터를 통합하여 제공 서비스

data.krx.co.kr

http://data.krx.co.kr/contents/MDC/EASY/visualController/MDCEASY200.cmd

 

KRX 정보데이터시스템

증권·파생상품의 시장정보(Marketdata), 공매도정보, 투자분석정보(SMILE) 등 한국거래소의 정보데이터를 통합하여 제공 서비스

data.krx.co.kr

3. OECD 경기 선행 지수 분석

(우리나라의 경기 수준을 확인하는 방법)

OECD 경기 선행 지수와 코스피 지수 월봉 차트와 비교

OECD 경기 선행 지수 = 가입국의 3~6개월 후 경기 흐름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

 

OECD 경기 선행 지수

 

경기 선행 지수가 전월보다 상승하면 경기가 상승 국면, 내려가면 하각 국면으로 분석

 

경기 선행 종합 지수 수치가 100 이상이면 경기 상승, 100 이하면 경기 하락 상태로 분석

Highlighted Country → Korea 선택

https://data.oecd.org/leadind/composite-leading-indicator-cli.htm

 

Leading indicators - Composite leading indicator (CLI) - OECD Data

Find, compare and share OECD data by indicator.

data.oecd.org

 

4. 한국개발연구원(KDI)보고서 분석 - KDI 경제 동향 보고서

 

연구 → 경제동향 → 경제지표 다운로드

한국개발연구원(KDI)보고서 분석 - KDI 경제 동향 보고서
GDP 및 제조업 성장률 차트

GDP 및 제조업 성장률 차트와 코스피 지수 차트 비교

 

제조업 성장률 상승 = 주가 상승

제조업 성장률 감소 = 주가= 하락

 

https://www.kdi.re.kr/research/monTrends

 

KDI 경제동향 2023. 3 - KDI 한국개발연구원 - 연구 - 월간지 - 경제동향

■ 최근 우리 경제는 수출이 위축된 가운데 내수도 둔화되면서 경기 부진이 지속되는 모습 ○ 대외여건 악화에 따른 수출 부진으로 제조업 경기가 위축되고 있음. - 수출은 지역별로는 대중국

www.kdi.re.kr

 

5. 관세청 보도자료 - 수출입 현황

 

알림*소식 → 공지사항 → 보도자료 → 정보데이터의 월간 수출입 현황 보고서

 

수출액 증감률이 마이너스가 나오는 것이 제일 안 좋고, 증감률 추세가 하락하는 것 역시 좋은 상황은 아니다.

 

매년, 매월 꺾은선이 계속 우상향만은 할 수 없으므로, 수출액증감률이 플러스가 유지된다면 좋은 시즌으로 간주한다.

 

동일 기간의 수출입 증감률과 코스피 지수 차트 비교

관세청 보도자료 - 수출입 현황

https://www.customs.go.kr/kcs/na/ntt/selectNttList.do?mi=2891&bbsId=1362 

 

관세청-보도자료

보도자료 게시판 목록을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로 나타내는 테이블로 제목링크를 통해 상세 내용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번호 구분 제목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5221 심사 새글 “해

www.customs.go.kr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