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MALL

분류 전체보기55

식이섬유 = 불용성 7 : 가용성 3 식이섬유 * 인체의 소화효소에 의해 소화되지 않는 탄수화물 성분으로 다른 영양소의 소화흡수를 저하시키면서 그 자체는 소화 흡수되지 않아 영양학적 가치는 없지만, 보수성, 양이온 교환능력, 겔 형성력/흡착력 등 물리화학적 성질로 인해 건강과 관련된 여러 기능을 한다. * 1일 20~25g * 섭취비율 = 불용성(7) : 가용성(3) (1) 불용성 식이섬유 ⇒ 오래 씹어야하므로 타액분비를 촉진 ⇒ 소화관 내에서 물리적인 작용으로 변의 체류기간을 단축 ⇒ 숙변제거, 장을 칫솔질해서 영양소 흡수 촉진 ⇒ 장 자극을 통해 장세포 탄력을 증진시킴(장의 연동운동 촉진) (2) 가용성 식이섬유 ⇒ 화학적인 작용으로 수분에 의해 부피가 팽창하여 포만감을 주고 영양소를 흡착하여 포도당과 지질의 체내흡수를 지연 또는 감소시.. 2023. 3. 19.
7종 유산균 7종 유산균 (1) 락토바실러스균 3종 :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 /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 소장의 장 속 환경 개선 - 소장의 기능 도움 ① 분해된 식품의 영양소를 흡수하는 소장에서 활동(상주) ⇒ 소장의 기능개선 ② 장을 산성화(pH 4.5~5)시킴 ⇒ 유해균은 산성에서는 살 수 없다. ③ 유해균의 증식 억제 ⇒ 헬리코박터균(소장 하단에서 대장 상단에 존재)을 제거 ④ 유당불내증 개선 ⑤ 장속 건강을 유지 (2) 비피도박테리움 2종 :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둠 - 대장 내의 유익균을 증식, - 유해미생물 억제 - 장의 연동운동 활성화 ① “비피더스균”이라 함 ② 대장에 상주(서식)하는 유산균으로 대장기능을 개선하고 장의 연동운동을 활성화한다. ③ 설사 및 변비 개선, 면역증강.. 2023. 3. 19.
칼슘 + 마그네슘 + 비타민D = 뼈 건강 뼈 건강 = 칼슘 + 마그네슘 + 비타민D 같이 섭취 1) 칼슘(Ca) : 천연신경안정제 ① 몸의 골격을 구성하는 구조기능 ② 근육수축, 신경전달, 심장박동 ⇒ 심장의 고동을 규칙적으로 유지 ③ 99%는 뼈와 치아의 주성분, 1%는 신경, 근육, 혈액에 존재 ④ 세포의 신진대사 조효소, 혈액응고 등의 조절기능 ⑤ 고혈압과 상관관계 있음 (결핍을 보충하기 위해서 뼈에서 방출된 칼슘은 혈관벽에 침착 – 동맥경화) ⑥ LDL-콜레스테롤 감소, HDL-콜레스테롤은 증가되어 심장질환, 뇌졸중 감소 ⑦ 철분과 동시 섭취하면 흡수 방해 ⑧ 중금속이 뼈 조직에 침착되는 것을 억제 ⑨ 면역에 관여 – 면역세포(골수) ⇒ 백혈구 만드는데 관여함 ⑩ 정신장애에 도움 ⑪ 1일 600~1,500mg2) 마그네슘 (Mg) : 체.. 2023. 3. 19.
비타민 B군 - 면역, 신경비타민 ▣ 비타민 B군 ▣ ♣ 비타민 B군 ♣ - 면역 비타민 - 신경 비타민 - 에너지 대사 비타민 - 수용성 비타민 - 에너지를 생산하는 대사에 작용 (B1, 2, 3, 5, 6, 비오틴(Vit H)), - 혈구 생산(B5, 6, 9, 12) - 부족하면 흉선이 축소되고 T-임파구의 생산 감소1. 비타민 B1(Thiamin, 티아민) : 신경비타민 - 알리신과 함께 복용하면 흡수율이 좋다. - 세포내에서 Vit B2, Vit B3 등과 함께 포도당으로부터 에너지를 만드는 대사에서 조효소로 작용 - 가장 중요한 기능은 성장촉진과 심장기능을 유지 (위, 장, 심장 근육 강화, 음식의 동화작용과 이화작용 증가) - 탄수화물은 에너지를 발생 과정인 TCA 사이클로 들어가 파이루브산이 된 뒤, 산화되어 에너지를 발생.. 2023. 3. 19.
반응형
LIST